김 영삼 前 대통령 호 YS(와이에쓰) 분석 
김 영삼 前 대통령의 원래 이름에 대한 오행과 
'애칭=호' YS(와이에쓰)를 이름에 보강한 경우 오행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보자.
김 영삼 前대통령의 원래 이름에 대한 분석은 --- 보기 --- > 
| 
 오행 관계 
  | 
 → 상생(관계좋음) ← , 상비(대등함) = , 상극(관계나쁨,대립,갈등)  /  화살표 방향 : 화살표의 방향으로 도와주는 상생 
  | 
| 
  .  
  | 
 한글 
  | 
 | 
 한자 
  | 
| 
 한글:소리오행 한자:자원오행 
  | 
 金 
  | 
 ← 
  | 
 土 
  | 
 → 
  | 
 金 
  | 
  金 
  | 
 → 
  | 
  水 
  | 
 / 
  | 
 火 
  | 
| 
 이름 
  | 
 김 
  | 
 .  
  | 
 영 
  | 
 .  
  | 
 삼 
  | 
 金 
  | 
 .  
  | 
 永 
  | 
 .  
  | 
 三 
  | 
| 
 획수 
  | 
 5 
  | 
 .  
  | 
 5 
  | 
 .  
  | 
 7 
  | 
 8 
  | 
 .  
  | 
 5 
  | 
 .  
  | 
 3 
  | 
| 
 획수오행 
  | 
 土 
  | 
 = 
  | 
 土 
  | 
 → 
  | 
 金 
  | 
 金 
  | 
 ← 
  | 
 土 
  | 
 ← 
  | 
 火 
  | 
| 
 호 YS 한글발음에 대한 획수는 와(5획) 이(2획) 에(4획) 쓰(5획)=16획 
  | 
| 
 YS와이에쓰 획수 
  | 
 16 
  | 
 .  
 
 | 
 16 
  | 
  .  
 
 | 
 16 
  | 
 .  
 
 | 
 16 
  | 
 .   
 
 | 
 16 
  | 
 .   
 
 | 
 16 
  | 
| 
 이름에 호 추가 획수 
  | 
 5+16=21 
  | 
 .   
 
 | 
 5+16=21 
  | 
 .   
 
 | 
 7+16=23 
  | 
 8+16=24 
  | 
  .  
 
 | 
 5+16=21 
  | 
  .  
 
 | 
 3+16=19 
  | 
| 
 
  | 
| 
 한글:소리오행 한자:자원오행 
  | 
 金 
  | 
 ← 
  | 
 土 
  | 
 → 
  | 
 金 
  | 
 .   
 
 | 
 金 
  | 
 → 
  | 
 水 
  | 
 / 
  | 
 火 
  | 
| 
 이름 
  | 
 김 
  | 
  .  
 
 | 
 영 
  | 
 .   
 
 | 
 삼 
  | 
 金 
  | 
  .  
 
 | 
 永 
  | 
 .   
 
 | 
 三 
  | 
| 
 이름에 호 추가 획수 
  | 
 21 
  | 
 .   
 
 | 
 21 
  | 
 .   
 
 | 
 23 
  | 
 24 
  | 
 .   
 
 | 
 21 
  | 
 .   
 
 | 
 19 
  | 
| 
 획수오행 
  | 
 木 
 
 | 
 = 
  | 
 木 
 
 | 
 → 
  | 
 火 
  | 
 火 
  | 
 ← 
  | 
 木 
 
 | 
 ← 
  | 
  水 
  | 
원래 이름(파랑색)에 대한 오행총평을 하면 전체 8구간중에서 6구간에서 상생이고 1구간에서 상극 , 상비가 1구간이다. 
이것을 오행 배점으로 보면 81.25점이 나온다. 주변관계가 좋은 오행점수이다. 
호가 이름에 보강 된 오행총평을 하면 전체 8구간중에서 6구간에서 상생이고 1구간에서 상극 , 상비가 1구간이다. 
이것을 오행 배점으로 보면 81.25점이 나온다. 주변관계가 좋은 오행점수이다. 
'애칭=호' YS(와이에쓰)로도 높은 오행점수를 보인다. 즉, 김 영삼 前 대통령의 '애칭=호' YS(와이에쓰)는 오행으로 볼 때 주변관계가 좋은 호라 볼 수 있다. 
김 영삼 前 대통령 호 YS를 추가한 경우의 한글이름, 한자이름, 통합이름 분석 --- 보기 --- >   
작명/개명/한자수정/호작명 신청은 여기를 보세요 - > 
어드카빙주 이름 소통학 보기 ->
어드카빙주 호 작명 - >  
이름은 인생의 좌우명
어드카빙주 이름 소통학
언어 이름 글자 문장은 써지는 순간부터 생(生)을 산다고 보고
그 생과 소통을 분석하는 국내 최초의 과학적 이론
<저작권자 (C) 어드카빙주.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