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순신 장군 자(字) 여해汝諧 분석
이 순신 장군의 원래 이름에 대한 오행과 
'자=호' 여해汝諧를 이름에 보강한 경우 오행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보자. 
# 자(字)는 중국과 한국 등지에서 관례(冠禮:성인식) 때 성인이 되었다는 징표로 새로 지어주는 별명.
# 여해는 서경에 따르면 순임금이 여러 신하 가운데 우 임금을 지적하며 “오직 너 汝 라야 세상이 화평케 諧 되리라” 한데서 유래.
# 여기서는 자를 넓은 의미의 호로 포함시켜 생(生)을 분석한다. 
충무공은 시호(諡號)이기에 이 순신 장군의 생(生)과 무관하므로 분석하지 않는다. ← 시호 : 죽은 뒤 공덕을 칭송해 왕이 내려 줌
이 순신 장군의 원래 이름에 대한 분석은 --- 보기 --- > 
  
| 
 오행 관계 
  | 
 → 상생(관계좋음) ← , 상비(대등함) = , 상극(관계나쁨,대립,갈등)  /  화살표 방향 : 화살표의 방향으로 도와주는 상생 
  | 
| 
 | 
 한글 
  | 
 | 
 한자 
  | 
| 
 한글:소리오행 한자:자원오행 
  | 
 土 
  | 
 → 
  | 
 金 
  | 
 = 
  | 
 金 
  | 
  木 
  | 
 = 
  | 
 木 
  | 
 → 
  | 
 火 
  | 
| 
 이름 
  | 
 이 
  | 
 | 
 순 
  | 
 | 
 신 
  | 
 李 
  | 
 | 
 舜 
  | 
 | 
 臣 
  | 
| 
 획수 
  | 
 2 
  | 
 | 
 5 
  | 
 | 
 4 
  | 
 7 
  | 
 | 
 12 
  | 
 | 
 6 
  | 
| 
 획수오행 
  | 
 木 
  | 
 / 
  | 
 土 
  | 
 ← 
  | 
 火 
  | 
 金 
  | 
 / 
  | 
 木 
  | 
 / 
  | 
 土 
  | 
| 
 호 여해 한글발음에 대한 획수는 여(4획) 해(6획)=10획 호 汝諧 한자발음에 대한 획수는 汝(7획) 諧(16획)=23획 한글이름에 거산 8획을 더하고 한자이름에 巨山 8획을 각각 더한다 
 
 | 
| 
 호 여해汝諧 획수 
 
 | 
 10
 
 | 
 | 
 10
 
 | 
 | 
 10
 
 | 
   
 | 
 23
 
 | 
 | 
 23
 
 | 
 | 
 23
 
 | 
| 
 이름에 호 추가 획수 
 
 | 
 2+10=12
 
 | 
 | 
 5+10=15
 
 | 
 | 
 4+10=14
 
 | 
 7+23=30
 
 | 
 | 
 12+23=35
 
 | 
 | 
 6+23=29
 
 | 
| 
 한글:소리오행 한자:자원오행 
 
 | 
 土 
  | 
 → 
  | 
 金 
  | 
 = 
  | 
 金 
  | 
 木 
  | 
 = 
  | 
 木 
  | 
 → 
  | 
 火 
  | 
| 
 이름 
  | 
 이 
  | 
 | 
 순 
  | 
 | 
 신 
  | 
 李 
  | 
 | 
 舜 
  | 
 | 
 臣 
  | 
| 
 이름에 호 추가 획수 
 
 | 
 12
 
 | 
 | 
 15
 
 | 
 | 
 14
 
 | 
 30
 
 | 
 | 
 35
 
 | 
 | 
 29
 
 | 
| 
 획수오행 
  | 
 木 
  | 
 /
 
 | 
 土 
  | 
 ← 
  | 
 火 
  | 
 水
 
 | 
 → 
  | 
 土 
  | 
 ← 
  | 
 水
 
 | 
원래 이름(파랑색)에 대한 오행총평을 보면 전체 8구간중에서 3구간에서 상생이고 3구간에서 상극 , 상비가 2구간이다. 
이것을 오행 배점으로 보면 50점이 나온다. 
호가 이름에 보강(초록색) 된 오행총평을 보면 전체 8구간중에서 5구간에서 상생이고 1구간에서 상극 , 상비가 2구간이다. 
이것을 오행 배점으로 보면 75점이 나온다. 주변관계가 좋은 오행점수이다. 
'자=호' 여해汝諧가 원래 이름보다 높은 오행점수를 보인다. 오행으로 볼 때 여해汝諧는 주변관계가 원래 이름보다 더 좋다. 
이 순신 장군 자 여해汝諧를 추가한 경우의 한글이름, 한자이름, 통합이름 분석 --- 보기 --- >   
작명/개명/한자수정/호작명 신청은 여기를 보세요 - > 
어드카빙주 이름 소통학 보기 ->
어드카빙주 호 작명 - >  
이름은 인생의 좌우명
어드카빙주 이름 소통학
언어 이름 글자 문장은 써지는 순간부터 생(生)을 산다고 보고
그 생과 소통을 분석하는 국내 최초의 과학적 이론
<저작권자 (C) 어드카빙주.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