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1면 톱기사를 분석하는 이 방법은 국내외 최초의 이론입니다.
분석 이유는 세가지입니다.
(2012.7.12부터 SNS에서 반응이 많은 인터넷 신문사의 기사제목 분석을 함께 합니다)
첫째는 전달하려는 내용과 향후 영향력, 즉 언론으로서의 소통력을 기사제목으로 우선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신문을 보는 구독자간 소통을 돕기 위함이고
마지막 세번째는 신문사 입장에서 고객과 원활한 소통이 되면 경영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기사 제목을 분석하 방법은 기사제목 문장의 각 글자의 획수를 파악하고 3음절로 나눠서 이름분석 하듯이 소통력의 겉기운을 분석하는 어드카빙주81지수 4개를 구하고 소통력의 속기운을 분석하는 어드카빙주64지수를 구한 후 81지수와 64지수의 내용으로 언론의 기능을 잘하고 있는지를 간단히 파악하게 됩니다.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의 겉기운을 나타내는 '어드카빙주 81지수(간단히 81지수)'와 속기운을 나타내는 '어드카빙주 64지수(간단히 64지수)'의 내용으로 기사가 전달하려는 내용과 기사가 나오기까지의 과정과 향후 영향력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으로 기사 제목이라는 문장을 잘 썻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거꾸로 말하면 신문사는 기사 제목을 뽑기 전에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으로 전달하려는 내용과 향후 영향력을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기사제목 분석 받기 ->
우리는 뉴스를 가공된 것으로 접해 온 부분이 있습니다.
정부 / 정치권 / 기업 / 기타 뉴스 원공급자의 뉴스 소재를 기자나 언론사의 스타일에 따라서 가공된 것을 접해온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때로는 굴곡이 생기면서 본래 의도와는 다르게 보도됨으로써 불필요한 소모전으로 국력이 소진되기도 하는 경우를 접해왔습니다. 그 파편은 우리 시민의 삶에 고스란히 박혀있습니다. ...
고객도 언론사의 스타일에 따라서 나뉘어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한동안 뿌리 깊었던 지역색 보다 더한 언론사에 따른 구독자층이 존재하며 그 신문만 보면 다른 경우의 수는 볼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대립의 구도가 되기도 합니다.
그만큼 언론은 고유의 색깔을 갖고 권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발달한 요즘 신문 여러개를 동시에 보는 구독자는 많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신문지면의 영향력은 크고 그중에서도 1면의 영향력은 더 큽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신문사별로 기사제목을 뽑는 성향이 다르고 내용도 약간씩 다릅니다.
이것은 내가 보는 신문만 보게 되는 경우 자신도 모르게 소통의 벽을 스스로 쌓는 것이고 결국은 사회적으로도 서로 소통이 막히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보는 독자는 신문사 끼리도 서로 소통의 벽이 있고 그 구독자간에도 소통의 벽이 있다는 것을 알고 소통시 참조하기를 바랍니다. 신문의 1면 톱기사를 분석하는 두번째 이유는 구독자간의 소통을 돕기 위함입니다.
신문사 입장에서는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을 활용하면 신문사의 경영에 도움이 됩니다.
기자는 언어의 마술사이기도 합니다. 기사의 제목을 어떻게 쓰느냐를 최종적으로 숙고합니다. 편집데스크도 마찬가지 입니다.
제목을 뽑아야 하는 모든 곳 - 카피라이터,슬로건,책제목 등등 - 에서 필요한 이론이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입니다.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으로 기사제목을 분석하며 내려지는 결론은 신문사의 규모에 따라서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으로 분석된 기사제목의 소통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규모가 큰 신문사일수록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으로 분석된 기사제목의 내용이 좋게 나왔습니다. 이것이 좋다는 것은 소통이 잘되어 언론으로서의 영향력이 크고 구독자의 반응도 좋다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아'다르고 '어'다를진데 모든 신문사는 기사제목을 결정하기 전에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으로 한번 더 검증을 하여 구독자와 소통이 잘 되어 신문사의 경영에 더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와 같이 어드카빙주 자문(字文)학으로 모든 문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광고글자, 슬로건 ... 등 영업과 홍보에 필요한 보든 문장을 도와드립니다.
신문사/잡지사 기자 소통학 강의 신청하기
2010.3.29
어드카빙주 소통학 창시자
언어 이름 글자 문장은 써지는 순간부터 생(生)을 산다고 보고
그 생과 소통을 분석하는 국내최초의 과학적 이론
<저작권자 (C) 어드카빙주.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