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절반 이상은 사내 직급제 파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4월 26일부터 28일까지 직장인 1,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0.8%가 사내 직급제 파괴에 대해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근무기업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65.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외국계기업(60.9%)>중소기업(60.6%)>벤처기업(58.6%)>공기업(55.7%) 순이었다. 직급별로는 사원급이 76.0%로 직급파괴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으며, 대리급(57.4%)>과·부장급(55.2%)>임원급(48.6%)이 그 뒤를 이었다. 
직급제 파괴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복수응답)는 52.5%가 수평적 관계로 인해 상호 존중하는 조직문화가 될 수 있어서를 1위로 꼽았다. 직급이 아닌 능력위주로 평가·인정 받을 수 있어서는 38.2%, 자유롭게 의사소통 할 수 있어서 34.4%, 업무 프로세스가 간소화 되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는 21.9% 이었다. 

직급제 파괴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조직의 화합을 해칠 것 같아서가 78.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유교적 상하관계 의식이 강한 우리나라 문화에는 적합하지 않아서 57.3%, 높은 직급자의 경우 오히려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52.1%, 인사평가에서 기준이 모호해질 수 있기 때문에 38.1% 가 뒤를 이었다. 
한편,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현 직장에서 직급제를 없애거나, 직급을 파괴한 호칭을 사용하고 있는가란 질문에 12.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직급파괴의 범위는 직급은 존재하되 직급을 뺀 호칭 사용이 76.8%를 차지했고, 직급제 및 호칭 모두 파괴는 23.2%이었다. 
직급 대신 사용하고 있는 호칭으로는 이름 뒤에 ∼님·씨를 붙여 부른다가 41.9%로 1위를 차지했다. ∼개발자·∼홍보담당자 등과 같이 맡은 업무에 따라 부른다는 30.5%, 선·후배 등을 붙여 부른다 9.0%, 직원 모두 하나의 호칭을 만들어 통일해서 부른다는 7.7% 이었다. 이외에도 각자 닉네임을 만들어 부른다 4.1%, 영문 이름의 이니셜을 사용해 부른다 3.3% 등이 있었다. 
커리어 김기태 대표는 "최근 창의적이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사내 직급제를 파괴하거나, 직급 없는 호칭 사용을 권장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2008. 5. 1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카빙메이커투 : 이미화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