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도 단위 첫 업무보고…“호남고속철 조기 완공”
이명박 대통령은 16일 “첨단소재, 신재생에너지, 광(光)산업 같은 미래지향적 산업 육성에 매진하고 있는 광주·전남지역에는 희망이 있고 미래가 있다. 정부도 보다 더 적극적으로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전남도청에서 열린 광주·전남 업무보고에서 “이제 광주·전남 지역이 낙후됐다는 과거의 고정관념은 떨쳐버리자”며 이같이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16일 전남 무안군 전남도청에서 열린 광주·전남 업무보고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구온난화와 기존 에너지 고갈 문제에 직면한 세계는 이른바 ‘그린 이코노미’로 대표되는 새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며 “이것은 선택이 아니라 우리가 반드시 이행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햇다.
또 지자체에 대한 중앙정부의 예산집행 문제와 관련해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도 당초 예산이 충분히 지원되지 않아 완공시기가 늦어질 뻔 했는데 예산집행 문제로 사업집중도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관광자원 개발에 힘쓰고 있는 광주·전남을 위해서라도 호남 고속전철이 빨리 완공되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신재생 에너지와 연구개발(R&D) 특구 조성, 관광사업 개발에 관한 예산은 우선적으로 내려 보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시·도 단위론 처음 열린 광주·전남 업무보고에서 박광태 광주시장과 박준영 전남지사로부터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조기집행, 일자리 창출, 추경 조기 편성 등 지역단위의 정책수단 총동원 등 시도차원의 위기대응 추진상황과 함께, 광주전남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지역현안을 보고 받았다.

이명박 대통령이 16일 영산강 살리기 현장을 방문, 현지관계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 대통령은 업무보고에 이어 영암군 삼호읍과 해남 산이면 일원에 조성되고 있는 서남해안관광레저도시 건설 현장을 둘러본데 이어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영산강을 직접 방문해 지역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다.
영산강 살리기 현장인 나주시 영산포구 앞을 방문한 이 대통령은 “영산강 맑은 물 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을 잘 관리하고 이것이 잘되면 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서 “영산강 주변 자전거 도로를 만들고 생태 공원 같은 것으로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도산 안창호 선생님이 쓰신 책을 인용하면서 “이 책에는 강을 살리자고 강조하고 있다”며 물 자원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준설을 빨리 해 4대강의 수심이 5~10미터는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