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기업 이름 일일이 거론하며 페루 정부 지원 요청
페루를 국빈 방문중인 이명박 대통령의 ‘비즈니스 프렌들리(기업친화적)’ 행보가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21일(한국시간 22일) 열린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과의 한-페루 정상회담과 관련,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페루와 관련된 한국 기업들을 일일이 거론하면서 페루 정부의 지원을 직접 당부해 마치 ‘비즈니스 상담’을 하는 분위기였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한-페루 정상회담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정상회담의 패러다임을 바꾼 회담”이라며 “두 정상이 처음부터 끝까지 정치적 얘기 없이 경제 분야의 실무적 어젠다를 갖고 논의했다. 이 대통령이 흡사 경협사절단 총단장과 같은 모습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알란 가르시아 페루 대통령이 21일 오전(현지시각) 대통령궁에서 확대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SK, 삼성전자, LG전자, 두산중공업, 석유공사 등 한국 개별기업들을 하나하나 거론하면서 가르시아 대통령과 페루 정부의 각별한 지원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SK와 관련, “석유화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험과 기술을 갖고 있다”고 소개한 뒤 까미시아 광구 인근의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당부했고, 전자분야에선 “삼성과 LG가 세계적인 기술을 갖고 있다. 특히 삼성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와이브로 기술을 갖고 있는데 페루처럼 넓고 산맥이 있는 나라는 광케이블을 까는 것보다 와이브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가르시아 대통령이 와이브로 기술과 관련, “우리 정부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 하나. 디지털 TV처럼 정부 결정이 필요한 것이냐”고 묻자 “정부 결정이 필요하다. 페루처럼 산이 많은 나라는 와이브로가 꼭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두산중공업이 담수에 관한 한 세계 1위의 기술을 갖고 있다”면서 남미 최초의 발전 담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석유공사가 정부투자기관이지만 페루 석유가스 개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 한국 자동차도 (페루에 많이 들어오게) 도와달라”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SK의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참여와 관련, 한병길 주 페루 대사에게 “자세한 내용을 정리해 가르시아 대통령에게 보고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이 대변인은 “두산 중공업의 담수 프로젝트, 삼성전자의 와이브로, SK의 에탄올 석유화학 공단 등이 이날 회의의 주된 의제로 부상됐다. 바로 이것이 비즈니스 프렌들리한 정상외교라고 할 수 있다”면서 “이 대통령이 지난 대선 기간 기업으로부터 부정한 자금을 한 푼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당당하게 이런 행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오로지 국익이라는 관점, 그리고 실리와 실용이라는 관점에서 비즈니스 상담을 방불케 하는 파격의 정상회담을 가질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