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신문 논평원의 글 관련 브리핑
통일부는 16일 북한 노동신문이 남북관계 전면 차단 가능성을 언급한 ‘논평원의 글’을 발표한데 대해 “(노동)당의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힌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노동신문 ‘논평원의 글’에 대해 “북한당국의 입장을 공식으로 밝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성명”이라며 “이 ‘논평원의 글’이 공식입장이라고 단정적으로 얘기할 것은 아니다”며 이 같이 평가했다.
그는 “북한 정부가 대내외적으로 발표하는 공식입장은 성명이나 담화, 그리고 가장 높은 형식은 매년 1월1일에 하는 공동사설”이라면서, “‘논평원의 글’은 대내외적으로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것은 아니고, 성명이나 담화보다는 비중이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노동신문이 당보이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대변하는 글이 아니냐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우리 정부에서는 북한의 입장이나 동향, 의도에 대해 성명이건 담화건 논평원의 글이건 항상 관심을 가지고 보고 있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논평원 글에 따르면) ‘우리 측 최고 존엄을 건드리면, 무분별한 반공화국 대결의 길로 계속 나아간다면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해서 북남관계의 전면적 차단을 포함한 중대결단을 내리지 않을 수 없다’는 표현이 있다”면서 “문맥상으로 볼 때 (논평원의 글에 담긴 내용이) 당장 무슨 조치를 취한다는 태도는 아니다”고 분석했다.
그는 아울러 “(논평원의 글을 보면) 우리가 말로는 상생공영이니 하면서 진정성이 없다고 하는데, 정부는 이미 수 차례 밝혔듯 남북대화를 통해 정상적인 관계로 만들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며 “그것은 진심 어린 대화 제의라는 점을 다시 한번 밝힌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남북관계와 관련, “지금은 조정기”라며 “남북관계가 지금 안 되고 있는 것은 과거의 정권 출범기에도 나타났던 현상이고 우리 정부는 당당하고 의연하게 대처해 나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우리는 북한의 향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면서 “남북대화를 통해서 관계를 개선하려는(우리의) 의지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