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기후전망과 대책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 카빙메이커투 : 강 영식-
다음은 2/8 기상청 브리핑 자료 전문입니다.
Ⅰ. 기후변화 전망
□ 지구온난화로 지난 100년간 세계는 평균 0.74℃, 우리나라는 1.5℃ 상승
○ 1850년 이래 가장 따뜻했던 12번 중 11번이 최근 12년 동안에 발생
□ 지구온난화에 따른 최근의 이상기상
○ 금년 겨울 엘니뇨현상이 가세하여 세계적으로 이상난동이나 폭설, 혹한 등 이상기상 현상 발생
미국 북동 지역에 폭설과 혹한으로 50명 사망, 10억불 피해
□ 2007년도 전망
○ 올해는 세계적으로 가장 더운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영국기상청 2007.1)
세계 평균기온은 평년(14℃)보다 0.54℃ 높을 것으로 예상
○ 우리나라 기온도 평년보다 높고, 이상기상 발생빈도가 증가할 가능성 높음
우리나라 평균기온은 평년(12.4℃)보다 0.5℃이상 높을 것으로 예상
□ 21세기 기후변화
○ 21세기 말 세계 평균기온은 최대 6.4℃, 해수면은 59cm 상승 전망(IPCC)
온실가스 농도를 2000년 수준으로 유지시 기온은 1℃, 해수면은 19cm 상승
※ IPCC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Ⅱ.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상 발생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증가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핵심주제로 부상('07년 다보스 포럼)
북극 빙하 감소로 해수면 상승, 북대서양 허리케인 강도 증가 등으로 인한 피해 확대를 우려
○ 집중호우, 태풍 등의 강도가 강해져서 막대한 피해발생 우려(IPCC 제4차보고서, '07. 2.)
세계적으로 최저기온 상승, 가뭄 영향지역 확대, 폭염일수 증가, 지역적 홍수 위험 증가 등 예상
□ 우리나라에서도 이상기상현상의 발생 증가 예상
○ 겨울철 한파는 감소, 대설 피해는 증가
겨울은 80년전에 비해 약 한달 짧아졌고, 2030~2040년대에는 15일 더 짧아질 전망
○ 봄철 황사 발생일수 및 강도가 증가하고, 가뭄 가능성 증대
황사일수(서울, 평균) : '80년대 3.9일, '90년대 7.7일, 2000년 이후 12.8일
○ 여름철 집중호우 강도는 강화, 열대야 등 폭염 발생 증가
하루 80mm 이상 집중호우 발생빈도가 50년전('54~'63년)연평균 23.5일에서 최근('96~'05년)에는 36.7일로 1.7배 증가
여름철 열대야 일수는 1920년대 2.3일에서 2000년 이후 9.4일로 증가
○ 초대형 태풍 발생 가능성 증가, 서리 및 냉해피해 감소
피해액 4조원 이상 태풍(루사, 매미)은 모두 최근 5년간 집중
서리일수가 80년전에 비해 20일 가량 감소
□ 이상기상 현상 발생 가능성
○ 겨울철 한파 감소, 대설의 강도 강해짐
○ 봄철 황사 빈발하고, 가뭄 가능성 증가
○ 여름철 집중호우 강도 심화, 열대야 등 폭염 발생 증가
○ 가을철 초대형 태풍 피해 가능성 증가, 서리 및 냉해 감소
Ⅲ. 향후 추진대책
□ 기후변화 등에 대응한 중장기 추진과제
○ 위성?고층관측망 확대 등 한반도 입체관측시스템 구축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 국가통합운영체계 구축(과기부 등 11개 부처)
○ 집중호우, 태풍 등 예측능력 강화를 위한 수치예측 기술 향상
○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작성 및 위험성 평가(국조실)
○ 전국 동시 정보전파체계 등 기상정보의 신속한 전달체계 구축(방재청)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폭염, 꽃가루, 감기 등 보건?환경 관련 콘텐츠 제공
○ 재해예방, 기후 등 전략분야 전문가 육성프로그램 운영
2007.02.09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7-02-09 21:38:05 카빙뉴스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