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저널 사태 관련 기자 대상 여론조사 결과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 카빙메이커투 : 강희숙
열린우리당 ‘시사저널 사태 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정청래 의원)’는 시사저널 사태 및 언론사의 편집권 문제에 대해 기자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KSOI (한국사회여론연구소/소장 김헌태)와 한국기자협회가 공동으로 실시했으며 1월 30일 300명의 기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중앙언론사 100명, 방송사 100명, 인터넷 언론 40명, 지방신문 30명, 기타(중앙언론에 소속되지 않은 주간지 및 월간지 외) 30명으로 할당하여 조사했다. 응답에 응한 기자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 273명, 여성 27명, 연령별로는 20대 20명, 30대 144명, 40대 118명, 50대 이상 18명이었고, 근속연수별로는 5년차 이하 40명, 6~10년차 81명, 11~15년차 99명, 16년차 이상 80명이었다. 한편 소속 언론사의 소유구조가 (1인)사주가 있는 언론사인지, 그렇지 않은 언론사인지를 구분한 결과 ‘사주가 있는 언론사 소속’은 154명, ‘사주가 없는 언론사 소속’(이하 ‘독립언론사’로 표기)은 136명으로 나타났다.
시사저널 파업, ‘지지한다’ 89%
시사저널 사태에 대한 기자들의 관심도는 90.4%(‘매우 관심있다’ 32.7%, ‘비교적 관심있다’ 57.7%)로 나타나 응답에 응한 대다수의 기자들이 이번 사태에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저널 사태에 대한 언론보도에 대해서는 ‘상당수의 언론이 관심있게 보도하고 있는 편이다’ 는 응답은 5.3%에 그친 반면 ‘일부 언론을 제외하고는 무관심한 편이다’ 94.3%로 나타나 시사저널 사태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를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시사저널 사태의 성격에 대한 질문에서는 ‘편집권 갈등 등 본질적인 문제로서 언론계 전반에 해당되는 문제다’ 78.1%, ‘특정 언론사의 노사갈등으로 노조와 사측 당사자들의 문제이다’ 18.0%로 응답에 응한 기자들의 대다수가 시사저널 사태를 특정 언론사의 문제가 아닌 언론계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언론사 소유구조별로는 사주가 없는 이른바 ‘독립언론사’ 소속 기자들에서 언론계 전체의 문제로 보는 인식이 특히 높게 나타난 반면 사주가 있는 언론사 소속의 기자들은 ‘노조와 사측 당사자들의 문제’라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근속연수 6~10년차, 그리고 진보적 성향의 기자들에게서 언론계 전체의 문제라는 인식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사저널 경영진이 특정 대기업에 비판적인 기사를 기자들의 동의없이 삭제한 것에 대해서는 ‘자본의 논리에 휘둘려 편집권을 침해한 행위다’는 응답이 81.4%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광고주를 의식할 수 밖에 없는 경영진의 불가피한 선택이다’는 응답은 14.3%에 그쳤다. 언론사 소유구조, 소속, 연령 및 근속연수, 이념성향을 막론하고 ‘편집권 침해’라는 비판적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사주가 있는 언론, 50대 이상, 보수성향의 기자층에서는 상대적으로 ‘경영진의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시사저널 기자들이 편집권 독립을 주장하면서 파업을 벌이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기자들이 지지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지지’ 88.7%, ‘비지지’ 8.7%). ‘지지’ 응답은 사주가 없는 ‘독립언론사’, 30대, 6~10년차, 진보성향의 기자층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으며, ‘비지지’ 응답은 사주가 있는 언론사, 16년차 이상, 보수성향의 기자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외부 필자들에 의한 시사저널 발행, ‘문제있다’ 79%
시사저널 기자들이 파업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부 필자들에 의해 시사저널이 발행되고 있는 것에 대한 기자들의 평가는 ‘편집국 기자들이 아닌 대체인력에 의한 잡지발행으로 문제가 있다’ 79.4%, ‘잡지발간이 중단되면 회사 전체가 공멸하기 때문에 불가피한 선택이다’ 17.0%로 매우 비판적으로 나타났다. 비판적인 평가는 중앙신문, 독립언론, 30대, 11~15년차, 진보성향층에서 특히 높았다. 반면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응답은 사주가 있는 언론사, 5년차 이하, 보수성향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사저널 사태 해결 위한 ‘편집권의 제도적 독립 보장’ 공감도 94%
시사저널 노조원들이 시사저널 사태 해결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편집권의 제도적 독립을 주장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에 대한 공감도를 질문한 결과 ‘공감’ 94.0%, ‘비공감’ 4.7%로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절대적인 공감을 표했다.
편집권의 최종적인 소재, ‘편집국’ 87% vs ‘경영진’ 8%
시사저널 사태의 중요한 쟁점인 편집권 문제와 관련해 편집권의 최종적인 소재가 경영진과 편집국 중 어느쪽에 있다고 보는지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압도적 다수인 86.7%가 ‘편집국’에 있다고 응답한 반면 ‘경영진’ 응답은 7.6%에 불과했다. 언론사 소유구조가 사주가 있는 언론이냐, 그렇지 않느냐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기자들이 편집권은 기자들로 이루어진 편집국에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기는 하나 진보성향(90.7%)은 물론 보수성향의 기자들도 대부분(81.3%) 편집권은 최종적으로 편집국에 귀속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소속 언론사 내에서 편집권 독립이 어느 정도 지켜지고 있다고 보는지 질문한 결과 ‘지켜지고 있다’ 78.4%, ‘지켜지지 않고 있다’ 19.8%로 나타나 대부분의 언론사에서 편집권 독립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편집권 독립에 위협적인 세력, ‘대기업 등 광고주’, ‘언론사 경영진’ 순
경영진으로부터의 편집권은 어느정도 지켜지고 있는 반면 대기업 등 광고주가 편집권에 미치는 영향은 날로 심화되고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집권 독립에 가장 위협적인 세력을 두 개 선택하게 한 결과 ‘대기업 등 광고주’ 88.3%, ‘언론사 경영진’ 60.8%, ‘이익집단 및 압력단체’ 30.3%, ‘정치권력’ 16.3% 순으로 나타났다. 소속별로는 중앙신문, 인터넷언론, 근속연수 5~10년차 기자층에서 ‘대기업 등 광고주’라는 응답이 90%를 상회했다. 한편 지방신문, 사주가 있는 언론사 소속 기자들로부터는 ‘언론사 경영진’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주목된다. 경영이 어려운 지방신문, 사주가 있는 언론사일수록 광고주의 영향력이 더 큰 현실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광고주의 압력에 의해 보도형태 및 논조 영향을 받은 적 있다’ 73%
소속 언론사의 보도행태 및 논조 등이 광고주의 압력에 의해 직ˑ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혀 없다’는 응답은 23.9%에 불과했으며 73.1%가 최소 한번 이상은 기사작성과정에서 광고주를 의식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자주 있다’ 5.6%, ‘가끔 있다’ 25.5%, ‘한 두어번 있다’ 42.0%). 독립언론사 보다 사주가 있는 언론사에서 ‘자주 있다’ 또는 ‘가끔 있다’는 응답이 35.6%로 적잖이 나타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출입처 중심의 기사생산 방식, 인터넷언론사 기자들을 중심으로 비판적 평가 높아
최근 노대통령이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계획에 대한 언론보도에 대해 ‘답합행위’라고 비판하고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기자단이 즉각 반발하면서 기자단 문제, 즉 출입처 중심의 기사생산 방식 문제가 다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출입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재의 기사생산 방식에 대한 몇가지 주장에 대한 공감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유력언론이 만들어놓은 앵글 및 논조에 의해 상당수의 기사들이 규정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 56.4%, ‘비공감’ 41.3%로 나타났다. 소속 언론사 별로는 인터넷언론과 지방언론에서 공감 응답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각각 78.9%, 62.1%). 또한 사주가 있는 언론사 보다 독립언론사에서, 보수성향 보다 진보성향의 기자층에서 공감 응답이 훨씬 높게 나타난 점도 특징적이다.
‘과도한 속보 경쟁으로 인한 폐단이 크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도가 72.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공감’ 72.6%, ‘비공감’ 25.4%), 소속 언론사 별로는 방송과 인터넷언론에서, 그리고 독립언론사와 진보성향의 기자층에서 특히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출입처 취재원과 기자들과의 밀착관계로 기사들이 출입처에 유리하게 작성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 50.9%, ‘비공감’ 45.8%로 나타나 평가가 팽팽했다. 그러나 소속언론사, 이념성향, 근속연수별로는 견해차가 상이하게 나타나 주목된다. 소속 언론사별로는 중앙신문에서는 ‘비공감’ 응답이 오히려 높은 반면, 인터넷언론과 기타언론에서는 공감응답이 타 언론사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독립언론사와 진보성향의 기자층에서는 공감 응답이 사주가 있는 언론사와 보수성향의 기자층에서는 비공감 응답이 더 높았다.
기자들은 진보적, 언론사는 진보 보수 팽팽
기자들의 주관적 정치성향은 ‘진보적인 편’ 63.8%, ‘보수적인 편’ 23.3%로 나타났다. 사주가 있는 언론사 보다 독립언론사에서, 30대, 11~15년차 기자층에서 특히 진보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속 언론사의 정치적 성향은 ‘진보적인 편’ 41.0%, ‘보수적인 편’ 40.5%로 팽팽했다. 소속 언론사별로는 방송, 지방신문은 보수적 성향이 오히려 강하며, 인터넷 언론이 가장 진보적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사주가 있는 언론사는 보수적이라는 응답, 독립언론사는 진보적이라는 응답이 각각 높게 나타난 점도 주목된다.
언론의 대선 관련 보도 균형성 평가, ‘균형’ 42% vs ‘불균형’ 56%
신문/방송사의 대선관련 보도가 특정 정당 및 후보에 쏠림없이 얼마나 균형있게 보도되고 있다고 보는지 질문한 결과 ‘균형있게 보도되고 있다’는 응답은 41.9%(‘매우’ 6.0%, ‘비교적’ 35.9%), ‘균형있게 보도되고 있지 않다’는 비판적 응답은 56.4%(‘전혀’ 12.3%, ‘별로’ 44.1%)로 나타났다.
언론사의 대선 지지후보 표방, ‘찬성’ 66%
대선보도와 관련해 언론사가 사설 등을 통해 공개적으로 지지후보를 밝히는 문제에 대해서는 ‘찬성’ 66.4%, ‘반대’ 33.6%로 나타났다. 소속언론사별로는 중앙신문에서 찬성 응답이 특히 높게 나타난 점이 주목된다. 독립언론사는 물론 사주가 있는 언론사에서도 공개적으로 지지후보를 밝혀야 한다는
2007.02.02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7-02-02 15:40:10 카빙뉴스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