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박형 TV 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액정표시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편광판의 생산량도 증대되고 있다. 
편광판은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광원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특성 및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소재이다. 편광판에 사용되는 필름으로는 폴리비닐알콜 필름, 편광판 보호필름, 보상필름, 이형필름 등이 있으며, 그 중 편광판 보호필름은 폴리비닐알콜 필름(편광자)의 양면에 적층되어 편광자를 보호하고, 치수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광학 필름이다. 편광판 보호필름으로서는 투명성, 평활성, 및 광학적 등방성이 우수한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그 핵심소재인 편광판 보호필름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편광판 보호필름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출원에 있어서도 외국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전상우) 자료에 따르면, 편광판 보호필름 관련 특허출원은 2007년까지 총 132건으로, 그 중 2004년 출원이 13%, 2005년 출원이 20%, 2006년 출원이 24%, 2007년 출원이 27%를 차지하고 있어 편광판 보호필름 관련 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술분야별 편광판 보호필름 관련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보호필름 자체 및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소재)이 61건(46%), 보호필름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가공)이 71건(54%)으로, 소재에 관한 출원보다는 가공에 관한 출원이 다소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편광판 보호필름의 출원인별 특허출원동향에 있어서는, 내국인 출원이 29건이고 외국인 출원이 103건으로 외국인 출원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소재에 관한 출원에 있어서는 내국인 출원이 3건이고 외국인 출원이 58건으로 내국인 출원의 비율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분야에서 내국인의 연구 및 특허출원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붙임 2 참조). 또한, 출원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후지필름이 전체의 49%에 해당하는 가장 많은 출원을 하고 있으며, 그 외 니토덴코, 코니카 등의 일본 업체들이 많은 출원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급성장하는 액정표시장치 산업과 더불어 그 소재산업인 편광판 보호필름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편광판 보호필름은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되는 실정으로, 편광판 보호필름의 국산화를 위해 향후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또한, 편광판 보호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AC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보호필름에 대한 연구개발도 병행해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2008. 2. 29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카빙메이커투 : 이찬수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