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대 소비자, "휴대폰 요금 비싸다"고 생각 
휴대폰 요금 인하 가능성은 대체로 "낙관적" 
최근 법원이 과도한 휴대폰 요금에 대해 이통사의 책임을 묻는 판결을 내리면서 휴대폰 요금 인하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흥미로운 조사결과가 나왔다. 
모바일 포털 사이트 모키(www.mokey.co.kr, 대표 최지웅)가 10∼20대 회원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열명 중 일곱명 이상은 휴대폰 통신요금이 비싸다고 느끼고 있고, 앞으로 요금이 인하될 가능성은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선 현재의 휴대폰 요금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4.3%가 비싸다고 답했고, 적당하다 22.4%, 저렴하다는 응답은 3.3%에 불과했다. 
휴대폰 요금이 인하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통신시장이 개방되면 인하될 것(27.6%), 시민들의 항의로 인하될 것(28.5%) 등 낙관적으로 보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이외에 한달 평균 휴대폰 요금(단말기 요금 제외)은 3-4만원대가 44.7%로 가장 많았고, 1-2만원대 27%, 5-6만원대 15.8% 순으로 나타났다. 10만원 이상을 내는 VIP 사용자도 3.3%(99명)에 달했다. 주로 사용하고 있는 요금제는 청소년 정액제가 70.4%로 가장 많았고, 기본요금제를 사용하는 비율은 15.8%로 조사되었다. 
요금제가 가장 부당하다고 느끼는 통신사는 SKT 54.3%, KTF 27.6%, LGT 18.2% 순으로 나타났고, 개선이 필요한 요금은 기본료 22.6%, 문자메시지 요금 20.4%, 데이터 통화료 18.9%로 조사되었다. 
모키 최지웅 대표는 "10∼20대 젊은층은 휴대폰 요금에 가장 민감한 소비층"이라고 밝히고 "현행 요금체계에 부담을 느끼고, 요금인하를 희망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3,000명이 넘는 회원이 응답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2007. 10. 11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카빙메이커투 : 한이환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