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 투사냐! 난폭한 해적이냐! 특별기획, 아시아의 해적 방송 
한국-싱가포르 공동제작 HD다큐멘터리 <특별기획, 아시아의 해적> 
Q채널, 30일 일요일 밤 9시 방송!! 
중앙방송(대표 김문연) 케이블ㆍ위성TV 종합교양채널 Q채널이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성행했던 해적들의 역사적 기원을 추적하는 HD다큐멘터리 <특별기획, 아시아의 해적>을 방송한다. 이 프로그램은 방송통신위원회 지원을 받아 싱가포르의 다큐·영화 전문 제작사인 Oak3 films와 공동 제작했다. 총 제작기간만 1년이 걸린 <특별기획, 아시아의 해적>은 30일 일요일 밤 9시에 Q채널에서 볼 수 있다. 

그 어느 때보다도 해양 안보 시스템이 잘 갖춰진 21세기. 그러나 한국 선박을 비롯하여 전 세계 선박들이 해적들에게 납치되는 사건이 종종 보도되고 있다. 인기 영화와 만화 등을 통해 해적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금, 과연 아시아에는 어떤 해적이 있으며 어떻게 생겨났는지 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작진은 필리핀 술루 해적 이라는 소재를 바탕으로, 아직까지도 해적들의 피해가 끊이지 않는 필리핀지역과 싱가포르를 오가며 술루 해적들의 역사를 살펴본다. 또한 화려한 컴퓨터그래픽과 배우들의 재연을 통해 술루 해적들의 다양한 무기와 배, 노예사냥, 전투 등을 생생하게 표현해냈다. 
다큐는 18세기,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 통치하고 있을 때부터 시작된다. 술루해에 접한 해안 마을에 3000명의 해적들이 느닷없이 나타나 노예사냥을 시작한다. 당시 스페인 군대는 이들을 단순한 해적이나 악당으로 보고 소탕 작전에만 매달렸다. 
하지만 1977년 민다나오 섬의 작은 마을 부투안에서 배 유물이 발굴되었고, 이들에 대한 다른 해석이 나오기 시작했다. 바로 이들은 남아시아와 중국, 인도에까지 무역을 하던 해양민족인 동시에, 술탄 군주가 이끄는 세 개의 부족(사말, 타오숙, 일라눈)으로 이루어진 무슬림 연합 세력이었다. 
따라서 이들이 자행한 노예사냥은 이슬람 문화를 말살하고 기독교를 확산시키려는 식민당국에 대한 하나의 저항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이들 이슬람 후손들은 자신의 조상들을 기독교 식민주의자들에게서 토착민의 문화를 수호하려했던 자유의 투사로 여기고 있었다. 그리고 발견된 유물 하나하나를 살펴보면 이들은 단순한 해적이 아니라 전문적인 무역상이자, 노련한 선박기술자였던 것 역시 알 수 있다. 
자유의 투사냐 난폭한 해적이냐는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다르겠지만, 식민주의에 저항해 자신들의 신앙과 토착문화를 지키려 했던 이들 술루해의 약탈자들은 필리핀 역사에 뚜렷한 행적을 남기고 있다. 
2008. 3. 27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카빙메이커투 : 한이환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