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발·시장확대 1조5000억원 투입 
올해부터 2012년까지 부품·소재 분야 기술개발과 시장확대에 1조5000억원을 투입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세계 5위로 끌어올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특히 대일적자의 주요 분야인 첨단 부품·소재 기술을 수행하는 기업에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해 시장가치가 높은 지재권을 획득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정부는 1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이명박 정부의 부품·소재발전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부품·소재발전기본계획은 부품소재전문기업의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 제3조에 따라 수립되는 부품·소재 분야 범부처 국가계획으로 지난 2001년 7월에 제1차 계획이 수립된 바 있다. 
제2차 부품·소재발전기본계획은 1차 계획의 성과를 점검하고 그동안의 대내외 환경 변화 등을 반영해 새로운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우선 2006년 현재 부품·소재 세계시장 점유율 7위를 2012년까지 5위로 끌어올려 부품·소재 세계 5대 강국에 진입한다는 비전 아래, 관련 핵심 원천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90% 수준으로 높이고, 부품·소재 무역흑자 90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8대 핵심 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8대 핵심 과제 
▲녹색성장을 뒷받침하는 100대 융복합 부품소재 핵심기술 확보 
▲소재자원 확보전략과 연계한 미래선도 소재기술 60개 개발 
▲세계시장 점유율 10%이상의 글로벌 부품소재기업 100개 육성 
▲수요대기업과 납품중소기업간 상생협력 기반 강화 
▲부품소재 전문인력 5만명 육성 
▲수요자 맞춤형 부품소재 정보·통계 기반 구축 
▲50억불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부품소재산업 고도화 
▲지역별 특화된 글로벌 공급기반 구축
이번 계획은 다양한 점에서 1차 계획과 차별점을 갖고 있다. 우선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1614억원을 지원해 단기간내에 성과창출이 용이한 부품 위주의 상용화 기술 개발에 치중했다면 앞으론 연평균 3223억원을 들여 녹색성장과 연계한 융복합 부품·소재 및 핵심 소재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기로 했다. 
국내 소재 기업의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을 활용해온 지금까지의 국내 완결형 기술혁신에서 벗어나 해외 기업, 선진국의 대학과 연구소 등 해외 기술을 활용한 개방형 기술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장비 등 하드웨어적인 부품·소재 인프라 구축과 같은 공급자 관점에서 벗어나 신뢰성 인증제도를 민간에 이양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지원정책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또 부품소재 중소·중견기업이 ‘강하고 돈되는 특허’를 획득할 수 있도록, 대일적자 주요분야인 첨단 부품·소재 기술을 개발할 때 기획, 수행, 완료단계별로 맞춤형 지원을 하는 등 시장가치가 높은 지재권을 획득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이같은 2차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올해 총 3287억원을 투입해 부품·소재산업의 질적 고도화를 추진한다. 
우선 융복합 부품소재 및 핵심소재 원천기술개발에 총 920억원을 신규 지원한다. 특히 미국, 일본, EU의 선진 해외 Set기업이 참여하는 공동 기술개발에 별도로 100억원을 배정해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또 이미 구축한 신뢰성 장비를 활용해 고장문제해결 및 내구수명 향상 등을 지원하는 신뢰성기반 기술확산 사업을 확대하고 올해 7월 신뢰성인증을 민간으로 이양해 기업의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국제협력 대상 국가를 확대하는 한편, 해외선질기술 습득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소재원천기술 보유국에 인력을 파견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밖에 기술개발, 신뢰성, 기술제휴 등이 연계된 맞춤형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는 등 미국, 일본, 중국 등 전략시장 개척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문의 : 지식경제부 부품소재총괄과 (02-2110-5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