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우울증...이대로 괜찮은가
나부끼는 바람에는 무너질 것 같은 절망감을 안겨준다는 우울증. 그리고 현대인이라면 조금씩은 앓고 있다는 우울증. 처음에는 그저 침체된 기분에서 시작하지만 최악의 경우 목숨마저 포기하게 만드는 21세기 우울증이 서서히 사람들을 공포로 몰아가고 있다.
이미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이 되면 우울증이 인류를 괴롭힐 세계 2위의 질병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을 정도로 우울증은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중앙방송(대표 김문연) 케이블·위성TV 종합교양채널 Q채널은 우울증의 심각성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는 현실을 맞아 <아시아의 공포, 우울증(2부작)>을 6일(월)과 7일(화) 밤 10시에 긴급 특별 방송한다.
이 프로그램은 우울증에 대한 사회의 인식부족과 미비한 의료시스템으로 홍역을 앓고 있는 아시아의 실태를 집중 취재하고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한다.
6일 밤 10시에 방송하는 1부 <우울한 아시아, 숨겨진 사람들>은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캄보디아 등 아시아 각국에서 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사례와 원인을 소개한다.
먼저, 캄보디아에서는 폴 포트 시대의 대학살(1975-1979, 200만 명 학살당함) 일명 킬링필드의 아픈 역사를 거친 우울증 환자들의 실태를 취재한다. 실제로 이 사건을 겪은 성인의 75%가 우울증과 스트레스성 질환을 보이는 심각성을 드러냈다.
중국에서도 우울증 환자가 늘어가고 있는데, 이것은 공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급격한 생활방식의 변화가 그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 일본에서는 직장 내 스트레스로 인한 직장인 우울증을, 한국에서는 남편과의 불화로 인한 주부 우울증과 유전성 우울증 환자들의 사연들을 소개한다.
시드니 대학 정신과 이안 하키 교수는 아시아의 정부나 의료기관이 우울증을 심각한 정신질환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아시아의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률은 국제적 표준보다 높다고 분석한다.
7일 밤 10시에 방송하는 2부 <우울증 세상 밖으로>는 7년 6개월째 하키코모리(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집안에 틀어박혀 사는 병적인 사람들을 일컫는 말) 생활을 하고 있는 일본인 미와 다쿠야 군의 사례를 통해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 및 일본 후생성의 우울증 환자 지원 시스템을 취재한다.
또 우리나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행해지는 항우울제 효능 실험과 대체의학에서의 뇌파훈련 치료법 및 두뇌자극요법인 자기장 치료를 함께 소개한다.
하지만 아시아 대부분의 국가들이 서구에 비해 우울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사회적 시스템이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비교적 선진화 되어있는 호주 정부의 정책과 시스템은 어떠할까. 호주 정부는 <비욘드 블루: '우울증을 넘어서자' 캠페인>, <블랙독: 우울증 치료 전문 종합병원> 및 정신장애 주거시설 운영 등을 통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프로그램은 호주의 시스템을 직접 점검해 보고 현지 의사와 자원봉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우울증의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다.
2008. 10. 5
시민의 관점으로 시민이 만드는 생활밀착 뉴스/정보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생활밀착 보도
보도자의 입장을 100%반영하는 보도
카빙 보도자료 편집팀
- 카빙- cabing.co.kr
<저작권자 (C) 카빙. 무단전제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