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한국등잔박물관이 빛을 통해 우리들의 삶을 바라볼 수 있는 전시를 연계해 개최하고 있다.
한국등잔박물관은 다음 달 14일까지 기획상설전 '빛과 마주하다, 이야기하다', 상설연계전 '빛과 마주하다, 오감으로 이야기하다', 기획전 '빛을 담다, 오늘을 담다'를 함께 진행한다.
한국등잔박물관 기획상설전 '빛과 마주하다, 이야기하다' 전시 모습. 이준도기자
기획상설전 '빛과 마주하다,
카카오야마토 이야기하다'는 지난해 작고한 김형구 한국등잔박물관 2대 관장을 추모하는 의미로 박물관을 운영해 온 고인과 가족들의 헌신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시는 과거 우리 조상들이 사용했던 등잔을 안방, 사랑방, 찬방, 부엌 등 생활공간별로 나눠 선보인다.
한국 전통 사회에서 등잔을 빛을 밝히는 기능을 넘어
오리지널바다이야기 미적 감각과 실용성을 조화롭게 담아낸 존재였다. 전시에서는 여러 등잔과 석기 등 다양한 조명 유물을 통해 등기의 발전 과정과 그 안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미적 감각을 탐구하고, 빛이 우리의 일상과 의례에서 어떤 역할과 의미를 지녀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게임몰 한국등잔박물관 상설연계전 '빛과 마주하다, 오감으로 이야기하다' 전시 중 일부. 이준도기자
상설연계전 '빛과 마주하다, 오감으로 이야기하다'는 기획상설전과 연계해 관람할 수 있는 전시로 오감을 통해 등잔이라는 사물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황금성릴게임사이트 ▶등잔의 재료와 질감을 손끝으로 느껴볼 수 있는 '촉각 체험' ▶식물성 기름의 향을 맡고, 절구로 씨앗을 빻아 향기를 경험할 수 있는 '후각 체험' ▶등잔을 만드는 제작 과정 소리를 들어볼 수 있는 '청각 체험' ▶등잔 기름과 관련된 식재료를 맛볼 수 있는 '미각 체험' ▶등잔불이 만드는 그림자를 관찰하고, 이야기를 상상하는
릴게임방법 '시각 체험' 등 총 5개의 오감을 모두 활용하는 경험을 통해 등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정재은 작가의 작품 '리아의 시간여행'. 이준도기자
기획전 '빛을 담다, 오늘을 담다'는 박물관이 기존에 선보여온 유물 중심 전시에서 벗어나 '빛'을 매개로 작업을 진행하는 시각예술 작가와 협업해 전통과 현대의 감성을 잇는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황은화, 양점모, 정재은 세 명의 지역 작가가 참여한 이번 전시는 회화, 공예, 미디어 등 다양한 장르의 시각예술 작품을 소개한다.
먼저 황 작가는 낮과 밤의 빛을 표현한 부조 형태의 작품을 선보인다. '다른 오늘'은 낮과 밤의 빛이 같은 창을 통해 다른 형태로 들어오는 것을 표현한 작품이다. 한 개의 창에서 들어오는 빛이라도 때에 따라 상이한 존재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양점모 작가의 작품 '둥지'. 이준도기자
공예 작업을 진행해 온 양 작가는 '둥지' 형태로 등의 갓에서 모티브를 얻은 작품을 선보인다. '둥지'는 그동안 양 작가가 주로 사용해 온 마끈, 삼베를 사용해 만든 작품으로 새 둥지 모양을 하고 있지만 옻칠로 마무리한 모습이 빛을 받은 등의 갓을 연상시킨다.
미디어와 설치 작품을 통해 '리아의 시간여행'이라는 작품을 소개한 정 작가의 작품도 만나볼 수 있다. 벽에 붙은 오래된 단독주택 이미지와 그 옆의 불 켜진 전봇대는 흔히 옛 동네에서 마주칠 수 있었던 이미지로, 집 대문 옆에서 흘러나오는 영상은 과거와 현재를 대변하는 시간과 서사를 품는다.
김상규 한국등잔박물관장은 "이번 전시는 과거의 유물과 현대미술을 연계해 등잔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전시"라며 "이번 전시를 계기로 앞으로도 다양한 기획을 통해 과거 유물을 참신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신선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전시를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도 기자 기자 admin@seastorygame.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