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일본 도쿄 신국립극장 소극장에서 개막한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 지난 2008년 신국립극장과 서울 예술의전당의 공동제작으로 초연된 이 작품은 올해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다시 공연된다. (c)일본 신국립극장
지난 7일 일본 도쿄 신국립극장 소극장. 올해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재일교포 극작가 겸 연출가 정의신이 쓰고 연출한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이 올라갔다. 이 작품은 일본 신국립극장과 서울 예술의전당의 공동제작으로 2008년 초연됐다. 이후 2011년 일본과 한국에서 재연된 데 이어 2016년 일본에서 세 번째 공연이 이뤄진 바 있다.
올해 다시 무대에 오른 ‘야끼니꾸 드래곤’은 1969∼71년 일
원금균등분할상환 계산기 본 오사카 간사이공항 근처 자이니치 마을에서 곱창집을 운영하는 용길네 가족의 이야기를 그렸다. 한국의 재일교포에 해당하는 자이니치(在日)는 일본에서 한국적과 조선적(북한 국적이 아니라 남북한 분단 이전의 조선반도 출신이라는 뜻으로 사실상 무국적)의 구별 없이 한반도 출신을 지칭하는 ‘자이니치 코리안’의 줄임말이다.
태평양전쟁에서 팔을 잃은
연체기간 용길은 죽은 전처 소생의 두 딸, 재혼한 아내 영순, 영순이 데려온 딸 그리고 부부가 새로 낳은 아들과 함께 꿋꿋하게 살아간다. 하지만 자이니치에 대한 일본 사회의 차별 속에 세 딸은 각각 그들의 배우자와 함께 한국과 북한으로 떠나거나 일본에 남는 선택을 한다. 그리고 아들이 학교에서 집단 따돌림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한 데 이어 자이니치 마을은 일본 정부
은행담보대출 금리비교 의 정책에 따라 강제 철거된다.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의 무대 앞에 서 있는 극작가 겸 연출가 정의신. (c)일본 신국립극장
이 작품은 초연 당시 한일 연극 교류 및 합작의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며 양국에서 연극상
2000만원 대출 을 휩쓸었다. 용길 역의 신철진과 영순 역의 고수희는 한국 배우로는 처음 일본 공연계 최고 권위를 가진 요미우리 연극대상 남우상과 여우상을 받는 기록도 남겼다. 또한 초연을 비롯해 재연, 삼연 모두 양국에서 티켓 예약 전쟁이 벌어질 정도로 큰 화제를 모았다. 공연마다 관객들이 자이니치의 신산한 삶에 눈시울을 붉히고 뜨거운 박수를 보내는 장면이 목격됐다.
원주신용불량자 이번 ‘야끼니꾸 드래곤’은 초‧재연 멤버였던 배우 고수희, 박수영, 김문식, 지바 데쓰야와 삼연까지 모두 출연한 악사 겸 앙상블 박승철을 비롯해 새롭게 캐스팅된 양국 배우들이 호흡을 맞췄다. 배우 고수희(49)는 “14년 만에 다시 출연하지만, 몸이 기억하고 있어서 연기에 어려움은 없다. 초연과 재연 땐 엄마 역할을 100% 이해하기엔 어렸었는데, 이번엔 나이와 경험 모두 쌓였기 때문에 좀 더 자연스러워지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새로 합류한 배우들 가운데 큰딸 역의 지순(본명 김지순)은 “자이니치 배우로서 이 작품에 출연한 것이 정말 특별하다. 극 중 이야기는 지금은 돌아가신 할아버지가 어린 시절 들려주셨던 이야기를 떠올리게 만든다”고 소감을 밝혔다.
지난 7일 일본 도쿄 신국립극장 소극장에서 개막한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 지난 2008년 신국립극장과 서울 예술의전당의 공동제작으로 초연된 이 작품은 올해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다시 공연된다. (c)일본 신국립극장
이날 개막 공연에서 객석을 가득 채운 일본 관객들은 웃다가 울다가를 반복했으며 막이 내린 뒤엔 기립박수를 보냈다. 공연에 앞서 신국립극장이 특별히 로비에 마련한 전통 색동 지갑 등 기념품과 김밥, 전, 잡채로 구성된 도시락과 막걸리 판매도 관객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올해는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 기념 공연이라는 의미가 더해진 만큼 이날 일본 방송사들이 공연 전후에 관객들을 인터뷰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극장에서 만난 하마다 모토코 일본 마이니치신문 논설위원은 “‘야끼니꾸 드래곤’을 볼 때마다 울게 된다. 이 작품은 완성도는 물론이고 일본과 한국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자이니치의 삶을 제대로 알려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피력했다. 그리고 우치다 요이치 연극평론가도 “‘야끼니꾸 드래곤’은 정의신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자이니치인 정의신의 인생이 깊게 담겨 있는 대사의 힘이 정말 크다”고 말했다.
한편 ‘야끼니꾸 드래곤’은 오는 27일까지 신국립극장 소극장에서 공연된 이후 11월 14~23일 한국 예술의전당, 12월 6~7일 기타큐슈, 12월 12~13일 도야마를 거쳐 12월 19~21일 신국립극장 중극장에서 파이널 공연을 펼친다.
도쿄=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