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정부가 리튬아메리카스 지분 5%와 '태커 패스' 광산 프로젝트 지분 5%를 취득할 것이라고 밝혔다. 라이트 장관이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라이트 장관은 "그 광산을 건설하는 것이 미국의 최선의 이익"이라며 "몇 년 안에 수입 리튬의 막대한 양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은 에너지부가 무상 워런트를 통해 지분을 취득할 것이라고 전했다. 캐나다 업체인 리튬아메리카스와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TIGER금은선물(H) 주식 (GM)는 합작 투자를 통해 미국 네바다주 태커 패스에 있는 미국 내 최대 리튬 광산을 개발하고 있다. 양사의 지분 비율은 62% 대 38%다. GM은 이 프로젝트에 6억2천500만달러(약 8천700억원)를 투자했고, 1단계 생산량 전량과 2단계 생산량 일부를 향후 20년간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고 있다.
앞서 블룸버그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 시기인 지난해 10월 에너지부가 태커 패스 프로젝트에 22억달러의 대출을 제공하기로 했고, 대출 집행을 위한 초기 조건을 충족 못한 리튬아메리카스와 GM이 에너지부양귀비예시 에 대출 구조조정을 요청한 후 정부 관계자들이 납세자 보호를 위해 외부 자본 추가를 요구하는 등 대출 조건 변경을 모색했다고 전한 바 있다. 초기 논의 과정에서 행정부 관계자들은 시장 상황과 무관하게 GM이 리튬 구매를 보장할 것을 요구했으나 GM이 이를 거부하면서 지분 요구로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는 에너지모바일야마토 부의 지분 요구에 리튬아메리카스 측이 대출금 1차분 집행을 확보하기 위해 보통주 5~10%를 취득할 수 있는 무상 워런트 제공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에너지부 성명에 따르면 이 시설이 1단계 가동에 들어가면 연간 약 4만t의 배터리 등급 탄산리튬을 생산해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차 최대 80만대에 충분한 양이다. 황금성동영상 현재 미국에서는 세계 최대 리튬 생산 업체인 앨버말이 소유한 네바다 시설에서 연간 5천t 미만의 리튬을 생산한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 내 리튬 공급망을 구축하고 중국 의존도를 낮춘다는 점에서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의 초당적 지지를 받아왔다. 이번 사례는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국이 무기화하는 핵심 광물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의 지분을 직접 취득하는 또 다른 사례가 된다. 앞서 미 국방부는 미국 내 유일한 희토류 광산을 운영하는 MP머티리얼스에 4억달러를 투자해 최대 주주가 됐다. 이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법에 따라 승인된 보조금 등 89억달러를 투자해 경영난을 겪는 인텔 지분 9.9%를 확보한 바 있다. jungwo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